안녕하세요. 

브리아나입니다.

오늘은 MacOS에서 Jupyter를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에 대해서 소개해보겠습니다.

 


1) 터미널 열기

Command+Space 키를 누르고 입력창에 "Terminal" 이라고 입력합니다.

제 컴퓨터에는 지금 python만 설치가 되어있습니다.

 

Python 설치는 여기 링크에서 : https://www.python.org/downloads/release/python-3815/

 

Python Release Python 3.8.15

The official home of the Python Programming Language

www.python.org

2) 파이썬 버전 확인하기

 

터미널에 python이라고 입력하면 버전이 나옵니다.

가장 먼저 2.7버전이 나오네요 

저는 3.11만 설치했는데 말이죠,,,당황

 

python3 라고 입력하면 python3버전의 환경이.

pip3 install jupyter

죄송해요. 😹

jupyter-notebook은 실행할 때 켜는거고 jupyter만 입력하셔야 합니다.

 

jupyter-notebook

만 입력하면 jupyter 환경이 등장합니다!

 

요로코롬 등장하게 되면서 

라인별로 코드를 작성하면서 수행하시면 됩니다.

데이터는 모두 메모리에 보관되니 사라지지 않아요 :)

 

그럼 오늘도 해피코딩 !

webcam으로 연결해서 카메라 스트림 받아올 때

VideoCapture(0) 이렇게 하면 너무 느릴때가 있다.

 

독자의 경우 노트북을 사용했고

노트북 캠(0)이 아닌 웹캠(1)을 연결하기 위해 1번을 사용했다.

import cv2

cam = cv2.VideoCapture(1)
cam.set(3, 1280)  # CV_CAP_PROP_FRAME_WIDTH
cam.set(4, 720)  # CV_CAPq_PROP_FRAME_HEIGHT

근데 저 Video Capture 부분에서 너무 오래걸리는것이다.

 

뭐 opencv-python 버전을 바꾸라는 후기도 봤지만

import cv2

cam = cv2.VideoCapture(1, cv2.CAP_DSHOW)
cam.set(3, 1280)  # CV_CAP_PROP_FRAME_WIDTH
cam.set(4, 720)  # CV_CAPq_PROP_FRAME_HEIGHT

cv2.CAP_DSHOW 를 붙이니 너무 잘된다!!

 

참고사이트: https://github.com/opencv/opencv/issues/17687

안녕하세요. 

오늘은 time과 datetime 라이브러리에 대해서 다뤄보겠습니다.

 

 

Time

1) time 라이브러리 호출(import)하고 시간 확인해보기

import time
print(time.time())

결과를 확인해보면 150394***.234309

라는 시간이 나오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요!

이 시간을 유닉스(Unix) or 포직스(POSIX) or 에폭(Epoch) 시간이라고 합니다.

1970년 1월 1일 0시0분0초 세계 협정해서 지금까지 걸린 시간을 의미합니다!

 

그래서 이건 코드 실행하는데 얼마나 걸렸는지 테스트할때 아주 좋습니다.

import time
start= time.time()
# code here blah blah
end = time.time()
print("Spending time: ", end-start)

이렇게 넣으면 코드가 실행되는데 걸린 시간을 자세하게 알 수 있는데요!

 

 

그럼 우리가 살고있는 현재시간으로 바꿔주어야겠죠!?

 

Datetime

 

1) datetime 라이브러리 호출하기

import datetime
print(datetime.datetime.now())

위 코드를 수행하면 2023-08-02 09:48:23.423123 와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만들어진 코드를 외부로 배포를 했을 때 파라미터들을 수정하는것은 필수과정 중 하나인데요!

변수를 외부로 빼서 하나의 파일에서 가볍게 수정할 수 있다면

그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변수를 외부로 빼는 방법으로는 .ini 파일이라던지, 

.yaml 파일등이 있는데요.

 

.yaml 파일은 들여쓰기가 필요해서

아주 간단하디 간단한 .ini 파일에 대한 리뷰를 남겨보겠습니다.

 

1) .ini 파일 준비하기

파일명은 config.ini 라고 지어줬고 

카테고리별로 나누어서 변수를 관리해주려고합니다.

큰 괄호로 [] 묶여있는곳을 오브젝트(object)라고 합니다.

 

.ini 파일에 있는 변수를 부르는 코드는 아주 간단(simple)한데요!

 

2) config parser python 코드 준비하기

import configparser
config = configparser.ConfigParser()
config.read('config.ini', encoding='utf-8')

이렇게 하면 config 변수 내부에는 .ini 파일의 전체 값을 모두 가지고있게 됩니다.

 

3) 호출하기

print(config['MODEL']['DETECT_PATH'])
print(config['MISS_SCAN']['DROPZONE'])
print(config['DRAWING']['DZ'])
print(config['FUNCTION']['CHEATING'])
print(config['DB']['MGDB_PORT'])

제가 접근하고 싶은 변수값이 있다면

['오브젝트명']에 ['ini파일의 변수명']에 접근해주시면

코드상에서 사용하고 싶은 변수값을 호출할 수 있습니다!

print(config['MODEL'])

오브젝트 명에만 접근하면

<Section: MODEL>

이렇게 알려주거든요!

모델섹션에있다. 를 알려주는 바입니다.

 

변수값을 수정하고 싶을 때,

코드 내에서 변수 찾아서 하나씩 수정하지말구

.ini 파일에서 쉽게 쉽게 수정하자구요 :) 히히

+ Recent posts